영유아 유행하는 감기 바이러스 종류 아데노바이러스 , RSV바이러스
안녕하세요 모든 걸 다해보고 가고 싶은 자유이용권입니다.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되면서 감기환자가 엄청나게 줄었습니다.
특히나 영유아기의 아이들의 감기환자가 많이 줄어
한때에 소아과 이비인후과 경영이 힘들 정도로 감기 관련 환자가 급감했었습니다.
마스크 착용으로 그렇게 많이 줄었지만 그래도 드문드문 유행하는 감기 바이러스가 있는 거 같습니다.
오늘은 흔히 유행하는 감기 바이러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맘 카페를 가끔 들여가서 글을 보다 보면 지금 어떤 바이러스가 유행이래요~
우리 동네엔 지금 무슨 바이러스가 유행이에요! 이런 글이 나오는 시기가 있는 것 같습니다.
최근에 본 바이러스는 아데노바이러스와 RSV 바이러스 , EB 바이러스 ,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정도가 흔하게 발생하는 바이러스 같습니다.
위에 언급한 바이러스들은 모두 감기 증상을 보이는 바이러스이며, 미취학 영유아 아이들에게 전염성이 강하기 때문에 유행이 돌면 바로 여기저기에서 감기 증상이 빠르게 번지게 됩니다.
실제로 저는 영유아기 아이들의 바이러스 검체를 채취하고 어떤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었는지 알아보는 직업을 가졌던 터라 검사 결과를 보면서 지금 시기에 유행하는 바이러스가 어떤 건지 어떤 추세인지 바로바로 현장에서 알게 된 경험이 있습니다.
세균성?? 바이러스성?? 치료방향이 달라집니다.
감기는 세균성이냐 바이러스성이냐
두 가지로 나누게 됩니다. 감기 증상은 하나이지만 어떤 균에 감염된 것인지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인지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리 됩니다. 그래서 인후두부의 스왑으로 검체를 채취하여 어떤 세균 혹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인지 검사를 하여 치료의 방향을 정하게 됩니다.
항바이러스제를 쓸지 항생제를 쓸지 결정되는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해야 하는 대표적인 감기 바이러스를 알아보겠습니다.
RSV Virus
: Respiratory syncytial virus의 약자이다. 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라고 불리며 , 유아에게 세기관지염과 폐렴 등의 하부 호흡기 감염증을 유발하는 가장 중요한 원인체이다.
호흡기계 국소 감염을 일으키며 보통 폐렴에 걸렸을 때 주로 나오는 바이러스이다. 영 유아의 기도 협착 및 폐색을 일으키며, 모체로 부터 받은 항체는 유아 감염을 방어하지 못한다.
특히 2~6개월 된 영아의 감수성이 매우 높다.
2세 이아의 영유아는 모두 한 번쯤은 RSV에 감염을 경험할 정도로 감염성이 높으며 재감염이 많고 원내감염도 많다.
현재까지 개발된 백신은 없으며 청결유지만이 최대의 예방책이다.
Adenovirus 아데노바이러스
:아데노 바이러스와 관련된 임상증상은 열성 인후염뿐만 아니라 인두결막염과 유행성 각막염과 같은 안과질환도 함께 일으킨다.
또한 설사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일반적인 감기 증상을 보이는 인두염, 상하부 호흡기 질환 이외에도 안과적 질환과 위장관 염증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이다.
감염경로는 비말, 분변, 손의 직접 접촉에 의해 감염되며 분변 구강의 경로로 소아와 가족들 간의 전파가 많은 바이러스이다. 감염된 영유아의 기저귀를 교체하면서 엄마나 아빠가 함께 감염된다는 뜻이다.
현재 약독화되지 않은 생백신과 군대 신병들의 예방용으로 관장용 캡슐로 된 것이 사용된다.
Parainflueza virus 파라인플루엔자
: 5세 이하의 어린이의 위막성 후두염의 주요 원인체로 어린이와 성인의 상기도 감염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이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특징은 심한 기침과 쉰 목소리가 특징이다.
위막성 후두염 외에도 일반 감기, 인두염, 기관지염 폐렴 같은 여러 가지 호흡기 질환을 일으킨다.
현재 백신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탈모의 원인과 관리법 (1) | 2022.02.01 |
---|---|
오미크론 증상 향후 정부 대책 (0) | 2022.01.30 |
당뇨병에 좋은 음식 나쁜 음식 식생활관리 중요해요 (1) | 2022.01.11 |
비타민 D 결핍 코로나19 발병 위험도 높아진다. (0) | 2022.01.08 |
허브티 효능과 종류 알고 마시는 허브차 (0) | 2022.01.07 |
댓글